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해 공무원 피격사건 단독 보도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저희 채널에이가 사건 발생 당시 청와대와 정부에 보고된 첩보 내용을 취재했는데요. <br> <br>상부가 사살하라고 한다, 쐈다. 소각하겠다, 이런 북한의 생생한 내용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첩보의 신빙성이 떨어져 대통령 보고가 늦었다는 당시 해명과는 배치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우리 정부는 2020년 9월 22일 저녁 10시 반 해수부 공무원 이대준 씨가 북한군으로부터 사살 당했다는 첩보를 입수했습니다. <br> <br>서훈 당시 국가안보실장이 23일 새벽 1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했는데, 같은 시각 문재인 대통령은 관저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23일 아침 8시 반에 서훈 실장으로부터 피격 사실을 보고 받았습니다.<br> <br>자국민이 북한군에 의해 사망한 사실을 대통령은 10시간 가까이 알지 못한 겁니다. <br> <br>당시 청와대는 대통령 보고가 늦어진 이유로 첩보의 신빙성을 들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복수의 정보 당국자들은 당시 첩보 내용은 상당히 구체적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"상부에 보고하니 사살하라고 한다" "쐈다. 움직이지 않는다" "소각하겠다. 다 탔다" 등의 내용으로 이 씨의 사망 사실을 알 수 있는 구체적 수준의 첩보였다는 겁니다.<br> <br>당시 정부는 이 씨가 피격되고 18시간이 지난 뒤에야 유엔사의 판문점 채널을 통해 북한에 통지문을 보냈고, 이후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통지문을 그대로 읽었습니다. <br> <br>[서훈 / 당시 국가안보실장(2020년 9월 25일)] <br>"국무위원장 김정은 동지는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 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하시었습니다." <br><br>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"서훈 전 실장이 귀국하지 않으면 인터폴 수사의뢰를 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강 민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